전체 글29 글로벌 사례로 알아보는 반응형 vs 적응형 비교와 선택 기준 웹사이트를 구축할 때 반응형 웹과 적응형 웹 중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할까? 반응형 웹은 하나의 코드로 모든 기기에 대응하는 방식이며, 적응형 웹은 특정 화면 크기에 맞춰 별도의 디자인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번 글에서는 글로벌 웹사이트들이 어떤 방식을 선택했는지와 두 방식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비교 분석해 보기 전 반응형과 적응형 웹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01. 반응형 웹, 적응형 웹의 개념반응형 웹반응형 웹이란, 하나의 HTML 코드를 사용하며, CSS 미디어 쿼리를 활용하여 다양한 화면 크기에 맞춰 자동으로 조정되는 방식이다. 네이버, 구글, 애플의 공식 사이트들이 반응형 웹에 해당한다. 쉽게 풀어 말하자면, 화면 크기 브레이크 포인트에 맞추어 반응하여 "여기부터 여기까진 A레이아웃이었.. 2025. 3. 15. 국내와 해외 사례로 살펴보는 슈퍼앱 슈퍼앱(Super App)이란?슈퍼앱은 단순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라, 사용자를 위한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하는 플랫폼이다. 사용자는 하나의 앱 내에서 결제, 쇼핑, 배달, 택시 호출, 소셜미디어, 금융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서비스를 하나의 앱에서 원스톱으로 처리하고 이용할 수 있다. 이름 그대로 슈퍼맨처럼 '하나면 다 되는 앱'인 것이다.슈퍼앱이라는 개념은 블랙베리의 공동 창업자인 마이크 라자리디스(Mike Lazaridis)는 2010년경 처음 정의했다. 그는 슈퍼앱을 "사용자들이 일상적으로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능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매끄럽게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라고 설명했으며,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이용하며 다른 앱으로 전환할 필요를 느끼지 않게 만드는 서비스"를 슈퍼앱의 핵심 특징으로.. 2025. 3. 12. 버티컬 앱에 대한 모든것(의미, 종류, 트렌드, 성공사례) + 범용 서비스 앱과의 차이점과 개발 유의점 1. 버티컬 앱이란? 버티컬 앱(Vertical App)은 특정 산업, 관심사, 소비자 그룹에 특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수평적 앱(Horizontal App)이 광범위한 사용자층을 대상으로 한 범용 서비스라면, 버티컬 앱은 특정 분야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버티컬 앱의 가장 큰 장점은 사용자 경험(UX)의 최적화다. 다양한 니즈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앱에 비해 특정 산업이나 소비자 그룹을 타겟으로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앱보다 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니즈가 명확한 만큼, 타깃 사용자의 니즈만 정확하게 충족시킨다면 사용자 충성도가 높고 이탈률이 낮다는 특징이 있다.이러한 특성 덕분에 버티컬 앱은 특정 시장에서 강력한 경쟁력을.. 2025. 3. 12. IT 프리랜서 디자이너 장점, 단점과 주의할 점 나는 디자인 전문 에이전시에서 UX/UI 디자이너로 5년 넘게 일하다 프리랜서로 전향했었다. 사실 돈 벌면서 이직준비하려고 시작한 거라 기간을 길게 두진 않았지만 프리랜서로 일해 보면서 장단점을 확실하게 느꼈었다. 디자이너의 관점에서 쓰긴 했으나 대부분 공통 사항이라 혹시 UX/UI 디자이너 혹은 Product 디자이너, 기획자, 개발자 등 IT 업계의 프리랜서를 고민 중인 사람이 있다면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이 글을 쓰게 됐다. IT업계 프리랜서의 장점가장 큰 장점은 '돈'이다. 그러나 물가상승률이 높은 요즘 같은 경우엔 점점 그 장점이 예전처럼 와닿진 않는 것 같다. 이제는 프리랜서도 3.3% 외에 고용과 산재보험을 적용하여 떼가는 돈이 늘었다 한들 정직원의 안정성 대신 급여가 높은 건 확실하다. 그래.. 2025. 3. 10. 다크패턴을 판단하는 기준과 취약 집단 위 책을 읽다가 흥미로운 부분이 있어 나의 의견을 좀 더 첨부하여 요약, 정리해 보았다.미국의 법률에서 다크패턴을 판단하는 기준연방거래위원회(FTC) 법에는 기만적 패턴에 관한 언급이 없다고 한다. 100여 년 전에 제정되었기 때문이다.하지만 불공정하거나 기만적인 상관행을 금지하는 5조에 따라 불공정을 판단할 수 있다고 한다.심각한 피해 유발 : 소비자에게 해를 가하거나 그럴 가능성이 있는 행위합리적으로 피할 수 없는 경우 : 소비자가 피해를 합리적으로 피할 수 없는 경우편익이 더 큰 경우 : 피해보다 소비자나 경쟁에 제공되는 상쇄 편익이 훨씬 큰 경우소비자를 오도할 가능성이 있는 표현, 혹은 생략하는 행위특정 조건에서 합리적인 소비자의 관점으로 판단할 수 없게 하는 경우오해의 소지가 있는 표현소비자의 .. 2025. 3. 4. Toss 'Simplicity 23' 내용 정리 - 미지의 영역에 도전할 때 데이터로 내린 의사결정 뒤집어엎기몇 가지 종류의 요금제를 출시할 것인가?Step1 : 다양한 데이터 요금제 제공- 데이터 제공량에 따른 요금제 종류가 적을 때와 많을 때를 비교해 본 결과 동일한 신청률이 나옴- 요금제를 많이 만들수록 리소스도 많이 들고 제품복잡도도 올라가는데 긍정적인 효과는 전혀 없는 상태 Step2 : 극단적으로 100GB 요금제 딱 1개만 출시- 다양한 데이터 제공량의 요금제를 여러 개 많이 보여주더라도 신청률이 전혀 올라가지 않는다는 결과가 있었기 때문- 이는 토스가 곧 잘하는 방식이기도 한데, 이를테면 '심플하게 딱 하나만 좋은 것을 제공하자'와 같은 제품 기조와 맞닿아 있음 Step2 Test - 사용자 인터뷰- 반복해서 나왔던 의견 : 한 달에 6GB 요금제를 쓰고 .. 2025. 3. 4. 이전 1 2 3 4 5 다음